더이노베이터스

WebGPU: 웹 그래픽 처리의 미래

웹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, 그 중심에는 그래픽 처리 기술이 있습니다. 최근, WebGPU가 차세대 웹 그래픽 API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WebGPU의 특징, 기존 WebGL과의 차이점, 그리고 게임 개발 및 데이터 시각화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1. WebGPU란 무엇인가?


우리가 웹에서 3D 그래픽이나 게임 같은 걸 볼 때, 그거 그냥 나오는 게 아닙니다.

뒤에서 WebGL이라는 기술이 열심히 그림을 그려주고 있었습니다.

근데 WebGL은 사실… 좀 구식입니다. 요즘 최신 GPU 기능을 제대로 못 쓰기 때문이죠.

그래서 나온 게 WebGPU입니다.

요약하자면:

WebGPU는 웹에서 더 빠르고 더 똑똑하게 그래픽 처리해주는 최신 기술입니다!

게임 그래픽, 데이터 시각화, 머신러닝까지! 이젠 다 웹에서 할 수 있습니다.

2. WebGL과 WebGPU 비교


항목WebGLWebGPU
출신OpenGL ES 기반 (구식)Vulkan, Metal, DirectX12 기반 (요즘 것)
성능CPU가 힘들어함GPU가 열일, 성능 GOOD
셰이더 언어GLSL (옛날 문법)WGSL (모던 문법, 최적화 짱)
계산 작업거의 못 함계산도 잘 함 (머신러닝도 가능)
자원 관리정신없음 (전역 상태 복잡)체계적임 (파이프라인 방식)

WebGPU는 속도도 더 빠르고, GPU를 더 똑똑하게 쓰는 친구입니다.

3. WebGPU 어디에 사용할 수 있을까?


  • 게임 개발
    • 웹에서 예전에는 그냥 “플래시 게임 느낌”이었다면 이제는 콘솔급 그래픽도 가능합니다.
  • 데이터 시각화
    • 수많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거 가능합니다.
    • 예: 주식 차트, 기후 데이터, 시뮬레이션 등등
  • 머신 러닝
    • GPU에서 수학 계산이 가능합니다. 그래서 웹 브라우저 안에서도 AI모델을 돌릴 수 있습니다.

4. 주의할 점


  • 브라우저 지원 현황: 지금은 크롬 최신 버전(113+)만 완벽 지원하고, 다른 브라우저는 준비 중입니다.
  • 학습 곡선: 새로운 API와 셰이더 언어(WGSL)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며, 기존 WebGL과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하위 호환성: 구형 하드웨어나 브라우저에서는 지원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, 이를 고려한 폴백(fallback) 전략이 필요합니다.

TI Tech Lab 김준수 연구원

Source

Avatar

theinnovators

Add comment